본문 바로가기
사회

국민이전계정: 생애주기적자와 노년층 구매력 변화

by 알ntan 집사 2025. 9. 26.
728x90
반응형

 

1. 생애주기적자의 흐름과 특징

한국의 국민이 생애주기적자에서 흑자로 전환되는 평균 연령은 28세로 조사되었습니다. 이는 태어나서 27세까지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큰 적자 상태를 유지하다가, 28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면서 흑자로 전환된다는 의미입니다.

  • 적자 최대 시기: 만 16세, 적자 금액은 4418만원
    • 고등학교 1~2학년으로, 소득은 적고 교육비 지출이 많아짐
  • 흑자 진입 시기: 만 28세
    • 노동소득이 소비를 초과하기 시작함
  • 흑자 최대 시기: 만 45세
    • 1인당 노동소득 4433만원, 흑자 금액은 1748만원

2. 다시 적자 전환: 61세

  • 61세에 다시 적자 상태로 전환
    • 퇴직 등의 이유로 노동소득이 감소
    • 보건소비가 급격히 증가(예: 병원비 등)

3. 적자 재진입 연령의 변화

  • 2010년에는 적자 재진입 연령이 56세였음
  • 은퇴를 미루는 고령층이 증가하면서, 적자 재진입 연령도 점차 늦어지고 있음
  • 이는 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와 연계됨

4. 노년층의 구매력 증가

  • 65세 이상 노년층의 2023년 소비액은 243조8천억원으로 전년대비 12.0% 증가
    • 전체 소비액에서 노년층 소비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**16.7%**로 역대 최고
  • **민간소비 증가율(14.9%)**이 **공공소비 증가율(6.9%)**보다 훨씬 높아 노년층이 실질적인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

5. 유년층의 교육 소비 증가

  • 0~14세 유년층 교육 소비가 처음으로 90조원을 초과
    • 2023년 총 교육 소비는 91조9210억원(공공교육 + 민간교육)
    • 유년층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 1인당 교육비가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 주목

6. 전체 생애주기적자 현황

  • 2023년 기준, 전체 생애주기적자 226조4천억원으로 전년 대비 31조원 증가
    • 이는 사회 전반적으로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초과하는 적자 규모와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

 

 

이게시물은쿠팡파트너스활동의일환으로, 이에따른일정액의수수료를제공받습니다.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