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1. 생애주기적자의 흐름과 특징
한국의 국민이 생애주기적자에서 흑자로 전환되는 평균 연령은 28세로 조사되었습니다. 이는 태어나서 27세까지는 소비가 노동소득보다 큰 적자 상태를 유지하다가, 28세부터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아지면서 흑자로 전환된다는 의미입니다.
- 적자 최대 시기: 만 16세, 적자 금액은 4418만원
- 고등학교 1~2학년으로, 소득은 적고 교육비 지출이 많아짐
- 흑자 진입 시기: 만 28세
- 노동소득이 소비를 초과하기 시작함
- 흑자 최대 시기: 만 45세
- 1인당 노동소득 4433만원, 흑자 금액은 1748만원
2. 다시 적자 전환: 61세
- 61세에 다시 적자 상태로 전환
- 퇴직 등의 이유로 노동소득이 감소
- 보건소비가 급격히 증가(예: 병원비 등)
3. 적자 재진입 연령의 변화
- 2010년에는 적자 재진입 연령이 56세였음
- 은퇴를 미루는 고령층이 증가하면서, 적자 재진입 연령도 점차 늦어지고 있음
- 이는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와 연계됨
4. 노년층의 구매력 증가
- 65세 이상 노년층의 2023년 소비액은 243조8천억원으로 전년대비 12.0% 증가
- 전체 소비액에서 노년층 소비액이 차지하는 비중도 **16.7%**로 역대 최고
- **민간소비 증가율(14.9%)**이 **공공소비 증가율(6.9%)**보다 훨씬 높아 노년층이 실질적인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
5. 유년층의 교육 소비 증가
- 0~14세 유년층의 교육 소비가 처음으로 90조원을 초과
- 2023년 총 교육 소비는 91조9210억원(공공교육 + 민간교육)
- 유년층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당 교육비가 크게 증가하였다는 점 주목
6. 전체 생애주기적자 현황
- 2023년 기준, 전체 생애주기적자는 226조4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31조원 증가
-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초과하는 적자 규모와 영역이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
이게시물은쿠팡파트너스활동의일환으로, 이에따른일정액의수수료를제공받습니다.
728x90
반응형
'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구금 우리 국민 316명, 12일 오후 인천공항 도착 예정 (1) | 2025.09.12 |
---|---|
민중기 특별검사팀,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'해상 술파티' 의혹 수사 진전 (1) | 2025.09.11 |
김건희 여사 1차 주가조작 혐의 불기소, 2차 주가조작 혐의로 기소 (0) | 2025.09.04 |
윤석열 전 대통령, 체포영장 집행 거부 사건: JTBC 뉴스 요약 (2) | 2025.09.02 |
주사형 비만치료제 ‘삭센다’와 ‘위고비’ 사용 증가와 부작용 우려 요약 (5) | 2025.09.02 |
JTBC 뉴스 정리: '윤어게인' 세력 주장과 한미 정상회담의 팩트체크 (3) | 2025.08.30 |
트럼프 측근, 통일교 소유 언론 통해 이재명 정부 비판 (2) | 2025.08.30 |
국민의힘, 국회 의사일정 보이콧 선언… 명분 부족과 실리 부재 논란 (6) | 2025.08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