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코스피 지수가 17일 3200 진입을 목전에 두고 마감한 가운데,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인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상반된 흐름을 보였습니다. SK하이닉스 주가는 급격히 하락하며 9% 가까이 떨어졌지만, 삼성전자는 3% 넘게 상승하며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.
1. 코스피 현황: 3192.29로 소폭 상승 마감
- 코스피 지수: 전날 대비 5.91포인트(0.19%) 상승, 3192.29로 마감.
- 상승률은 제한적이었으나, 삼성전자의 상승세가 코스피 강세를 이끌며 3200선에 바짝 근접.
2. SK하이닉스 주가, 8.95% 급락 이유는?
2-1. SK하이닉스 주가 현황
- 개장가: 28만3500원(4.22% 하락).
- 종가: 26만9500원(8.95% 하락).
- 1일 하락폭: 2만6500원.
날짜SK하이닉스 종가변동률
7월 11일(장중) | 30만6500원 | 고점 기록 |
7월 14일 | 30만원 | 상승(72.5% ↑, 연초 대비) |
7월 17일 | 26만9500원 | 8.95% 급락 |
👉 SK하이닉스는 올해 큰 상승을 보였지만, 17일 하락세로 전환하며 단기 매도세가 급증했습니다.
2-2. 하락 원인: 외국인의 매도와 투자 의견 하향
-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도
▶ 외국인 매도 규모: 5647억원.
▶ 기관 매도 규모: 2891억원. - 투자 의견 하향
▶ 골드만삭스: 투자 의견을 **‘중립’**으로 조정.
▶ HBM(고대역폭 메모리)에 대한 우려:- 장기 전망은 긍정적이지만, 내년부터 경쟁 심화로 인해 가격 하락 가능성 예상.
▶ 미래에셋증권: 목표 주가 30만원으로 하향 조정.
- 장기 전망은 긍정적이지만, 내년부터 경쟁 심화로 인해 가격 하락 가능성 예상.
👉 골드만삭스와 미래에셋 등 주요 기관들의 목표 주가 하향은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.
3. 삼성전자, SK하이닉스와 대조적으로 3% 상승
3-1. 삼성전자 주가 동향
- 종가: 6만6700원(전일 대비 3.09% 상승).
- 외국인 순매수: 5238억원.
- 기관 순매수: 1238억원.
종목종가(7/17)전일 대비 등락률외국인 순매수기관 순매수
삼성전자 | 6만6700원 | +3.09% | 5238억원 | 1238억원 |
SK하이닉스 | 26만9500원 | -8.95% | -5647억원 | -2891억원 |
三星전자는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순매수로 상승세를 보이며, SK하이닉스에 비해 긍정적 흐름을 이어갔습니다.
3-2. 삼성전자의 상승 요인
- 키맞추기 효과
▶ 삼성전자는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상태에서 최근 흐름에 따라 키맞추기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
▶ 반도체 시장 회복 기대감이 상승 요인으로 작용.
👉 삼성전자의 안정적인 매수세는 코스피 추가 상승의 기반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4. 전문가의 시선: 반도체 시장 전망
- SK하이닉스와 HBM(고대역폭 메모리)
▶ HBM 시장의 장기 성장성은 긍정적이지만, 내년부터 가격 하락 전망은 단기적으로 부정적.
▶ SK하이닉스의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조정 국면에 돌입. - 삼성전자
▶ 기술주 내부의 밸류에이션 조정 과정에서 SK하이닉스 주가가 밀리면서 삼성전자가 대안적 투자처로 부각.
▶ 외국인 투자자들의 순매수세가 이어질 경우, 추가 상승 가능성 존재.
👉 시장 전문가들은 반도체 시장의 구조적 회복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지만, 단기적인 가격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합니다.
결론: 반도체 종목 주가 엇갈림 속 코스피 상승세 유지
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엇갈린 흐름을 보였지만, 반도체 관련 종목 전반의 장기 성장성은 여전히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
특히 코스피는 3200선 진입을 목전에 둔 만큼, 단기적인 매도압력에도 불구하고 시장 전반의 상승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이게시물은쿠팡파트너스활동의일환으로, 이에따른일정액의수수료를제공받습니다.
728x90
반응형